|
|
|
|
|
|
|
|
|
영국 케임브리지셔(Cambridgeshire)주의 수도로 인구는 454,000명(2004년 현재)
| | |
|
|
옥스퍼드와 함께 영국을 대표하는 캠버리지 대학의 소재지로 널리 알려진 대학도시이나 1970년대 트리니티(Tritiny) 대학에서 캠버리지 과학단지를 조성하기 시작하면서 첨단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하기 시작 |
|
|
캠버리지 과학단지의 성공에 힘입어 주변지역에 첨단산업 입지·지원시설들이 집적하면서 2000년대 이후 케임브리지셔(Cambridgeshire)주 전역에 걸친 캠버리지 테크노폴(Cambridge Technopole)로 발전 |
|
|
캠버리지 테크노폴은 캠버리지 시를 중심으로 하는 반경 20마일지역을 지칭 |
- 인구 : 454,000명 - 면적 : 176㎢ - 첨단기업 수 : 약 1,500개소 | |
|
|
|
|
캠버리지는 대표적인 교육도시이자 역사문화도시로의 전통을 지니고 있음 |
|
|
그러나 1970년대 초 캠버리지 대학교의 트리니티 대학에 의해 과학단지의 개발이 추진되면서 테크노폴로서의 위상을 확립하는 계기가 제공되었음 |
- |
그 이전부터 이 지역에는 캠버리지 대학교와의 연계를 추진하는 기업입지수요가 있었으나 캠버리지 대학교에서는 남부 옥스포드의 경우와 같이 공업활동이 캠버리지 지역을 지배하는 활동으로 대두될까 하는 두려움으로 인해 IBM에게도 토지를 제공하지 않았던 경험이 있음 |
- |
그러나 대학의 산업정책의 평가를 위하여 설립된 모트 위원회(Mott Committee)에서는 연구 및 첨단산업의 대학 전체의 발전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, 지역내에서 이용가능한 과학자와 설비 및 도서관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이러한 모든 유형 산업으로부터 지역내 연구소로의 피드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캠버리지내에 지식집약적 산업의 적정한 성장이 필요다는 결론을 제시 |
- |
이 결과 트리니티 대학은 대학교에서 약 2마일정도 떨어진 시 외곽에 130에이커의 미개발 부지를 과학단지로 개발키로 결정 |
|
|
1980년대 이후 캠버리지내 대학의 산학연 연계가 활성화되고 지역내에서 과학단지의 공급이 확대됨에 따라 첨단산업의 집적이 가속화되었으며, 이에 따라 벤처자본 및 기업지원 서비스업의 집적이 이루어짐으로서 유럽내에서 가장 혁신적인 지역의 하나로 성장 | |
|
|
|
|
캠버리지는 영국의 가장 대표적인 첨단산업 집적지역으로 이미지를 확립 |
- |
1980년대 까지 캠버리지의 첨단산업 집적지는 캠버리지 과학단지에 불과하였으나 캠버리지 과학단지의 활성화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첨단기업 입지 시설의 개발이 이루어졌으며, 이 결과 캠버리지 시를 넘어 케임브리지셔주(Cambridgeshire)전체가 하나의 광역 테크노폴의 이미지를 확립 |
|
|
이러한 결과 유럽 공동체 위원회(European Commission)으로부터 모범적 혁신지역상을 수상 | |
|
|
|
|
캠버리지의 발전 역사는 도시의 발전역사라기보다는 캠버리지 과학단지를 계기로 하여 이루어진 첨단산업 입지공간의 개발 역사로 보는 것이 타당함 |
|
|
캠버리지 과학단지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과학단지로 그 목적은 다음과 같음 |
- |
캠버리지 대학의 과학기술을 활용한 산학연계 활성화 |
- |
경제 재생과 기술이전의 촉진 |
- |
창업단계에 있는 연구개발 기업의 지원 |
- |
생명산업 및 첨단연구개발 클러스터의 성장 촉진 |
- |
연구개발기업에게 기술이전 전문서비스 및 전문 설비의 제공 |
- |
친환경적인 단지 개발 등 |
|
|
과학단지로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캠버리지는 엄격한 입주규제를 가하고 있음. 캠버리지 과학단지에 입주가 허용되는 기능은 다음과 같음 |
- |
산업생산과 연관된 과학적 연구 |
- |
대학과의 연계가 필요한 경공업 생산 |
- |
과학단지에 필요한 기타 부대활동 |
|
|
캠버리지 과학단지는 152acre의 부지위에 설립되어 있으며 창업보육공간과 생명산업 연구소, 화학연구소, 물리학 연구소, 사무공간 등을 자체적으로 보유하여, 기타 각과정 어메너티 시설을 설치 |
|
|
초기에 발전속도가 느렸으나 1980년대 이후 급속히 발전하였음 |
- |
특히, 1990년대 캠버리지 지역에서는 총 1,200개의 기업이 3만5천명을 고용할 정도로 증가하면서 창업보육 공간의 필요성 등이 증가하여 캠버리지 과학단지의 기능이 강화 |
|
<캠버리지 과학단지 내부 전경> |
|
|
현재 캠버리지 과학단지에는 71개 기업이 약 5,000명을 고용하고 있음 |
|
|
캠버리지 과학단지의 성공이후 캠버리지 지역에는 다수의 과학단지 및 창업보육시설 설치가 추진 |
|
|
바브라함 생명공학 센터(Babraham Bioscience Technologies)에서는 생명기술분야 기술과 투자의 연계를 촉진하기 위하여 바브라함 연구캠퍼스(Babraham Research Campus)를 조성 |
- |
개발의 첫 번째 사업으로 미네르바(Minerva)를 건축하였으며 2006년도에는 메디트리나(Meditrina)로 명명된 2번째 건물 건축을 착수할 예정 | |
|
<Babraham Research Campus내의 기업 입주시설> |
|
<미네르바(Minerva)> |
|
<메디트리나(Meditrina) 조감도> |
| |
|
|
캠버리지 시 남축 12km 지점에 그란타 파크(Granta Park) 건설 |
- |
이 지역은 생명공학분야의 명성을 지니고 있는 지역으로 지놈 캠퍼스(Genome Campus), 바브라함 연구소(the Babraham Institute), 분자생물학 연구소(Laboratory of Molecular Biology) 등이 입지 | |
|
|
<그란타 파크(Granta Park) 내부> |
|
<그란타 파크(Granta Park) 전경> |
| |
|
|
이와 더불어 캠버리지 남측 9마일 지점의 멜버른에 멜버른 사이언스 파크(Melbourn Science Park)를 건설 |
- |
이 단지는 테크놀로지 파트너쉽 그룹(Technology Partnership Group)이 소유하고 있으며 제약산업과 생화학, 정보통신, 인쇄, 전자 등을 대상으로 하고 있음 |
- |
단지의 규모는 17acre임 | |
|
|
<멜버른 사이언스 파크 (Melbourn Science Park) 전경> |
|
<멜버른 사이언스 파크 (Melbourn Science Park)내의 정원> |
|
<테크놀러지 파트너쉽(Technology Partnership) 본부건물> |
| |
|
|
최근에는 캠버리지 리서치 파크(Cambridge Research Park)가 지역 내에서 건설됨 |
- |
이 단지는 450,000㎡의 부지위에 55,740㎡의 생명기술분야 연구개발 기업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음 |
- |
단지의 위치는 캠버리지 시의 북측 5마일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, 다양한 수변 공간등을 활용한 가장 아름다운 과학단지의 하나로 꼽히고 있음 | |
|
|
|
<캠버리지 리서치 파크(Cambridge Research Park) 전경> |
|
|
캠버리지 테크노폴의 발전은 과학단지의 개발만으로 설명할 수 없으며 오히려 이보다는 각종 산학연 연계 프로그램의 발전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 |
- |
캠버리지에서는 매년 정례적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지닌 포럼이나 세미나가 개최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연구성과를 공유함과 동시에 대학에는 기술개발 성과의 상용화 기회를, 기업에게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접근을 촉진하고 있음 |
|
|
Cambridge Corporate Gateway |
세계의 기업에게 첨단기술클러스터와 대학연구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|
|
|
Cambridge Enterprise Conference |
세계의 기술집약적 기업가 및 관련 전문가에게 기업에 대한 토론기회를 제공 |
|
|
Cambridge International Manufacturing Symposium |
제조업 분야의 세계적 이슈에 대한 토론장 |
|
|
Cambridge Summer Forum |
혁신센터와 과학단지, 대학연구성과의 상용화, 네트워크 형성 등에 관한 모범사례 연구 프로그램 |
|
|
Cambridge Technology Management Symposium |
신기술의 상용화에 대한 기회 제공 |
|
|
ERBI Annual Cambridge BioPartnering Exchange |
생명산업클러스터에 대한 정보 교환 |
|
|
High Value Manufacture Cambridge Conference |
영국 동부지역의 첨단산업에 대한 이슈 토론 |
|
|
Horizon Seminars |
캠버리지에서 이루어진 과학, 기술분야에 대한 정보 제공 |
| |
|
|
|
이와 더불어 네트워크 기관의 역할 역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이의 대표적인 조직은 다음과 같음 |
- |
Cambridgeshire Camber of commerce |
- |
Cambridge Enterprise and Technology Club |
- |
Cambridge High-tech Association of Small Enterprises |
- |
Cambridge Network |
- |
Cambridge University Local Industry Links |
- |
Eastern Region Biotechnology Initiative |
- |
Enterprise Link |
- |
Cambridge University Institute for Manufacturing | |
|
|
|
|
캠버리지시가 대학도시에서 광역 테크노폴의 거점으로 성장한데는 캠버리지 대학의 존재가 결정적 영향을 미침 |
|
|
캠버리지 대학은 다양한 산학연계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대학이 보유한 기술의 이전 등을 촉진하였으며 기업을 위한 각종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왔음 |
|
|
그러나 캠버리지가 오늘날과 같이 성장한데는 이러한 대학의 존재를 넘어 지역이 지닌 첨단산업 메카로서의 명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이를 또 다른 도약의 계기로 삼은 것이 주효하였다고 할 수 있음 |
|
|
특히, 캠버리지 대학교 등 우수한 고등교육기관의 존재, 대학과 기업간 연계를 지원하는 다양한 조직 및 프로그램의 존재, 기업 입지를 지원하기 위한 물리적 기반 등이 캠버리지 지역의 성공적 발전의 기반이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음 | |
|
|
|
|
캠버리지의 성공사례는 산학연 연계의 중요성을 보여줌 |
- |
초기단계 캠버리지에는 거점 역할을 할 수 있는 대기업의 부재로 이러한 거점 역할을 대학이 담당 |
|
|
주목해야 할 점은 지역이 획득한 명성이 결국 지역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또다른 동력이 된다는 점 |
- |
우리나라의 혁신도시도 백화점식의 기능구조보다 단기간내에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전문분야를 집중 육성하여 도시전반의 장기적 발전을 도모하는 전략 필요 |
|
|
또한 지역 내에 구비된 다양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기업지원서비스 기능의 역할에 대해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 |
- |
캠버리지가 캠버리지 과학단지라는 소규모 첨단산업집적지에서 광역적 테크노폴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과학단지 등 물리적 기반의 구축보다는 다양한 네트워크 조직의 활성화, 각종 프로그램 개발, 기업지원 서비스의 지역 내 집적 등이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함 |
- |
우리나라의 혁신도시의 개발도 초기단계부터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이러한 소프트웨어의 발전에 대해 검토 필요 | |